◎ 독일바퀴
옅은 갈색이고 200-300일까지 긴수명을 갖는다. 적온,적습일때 년중 번식하고 잡식성으로 과자, 육류, 종이 등을 먹는다. 질병을 매개하 고 주위를 불결하게 더럽히며, 식품을 가해하고 섭취한다. 군집성이 있으며 틈세를 선호하며 한개의 알에서 15-25마리바퀴가 태어난다. ◎ 집바퀴
검정에 가까운 갈색이며 숫컷은 몸통이 3/4이 날개로 덮혀있다. 주방, 하수구 등 습하고 어두운 곳에 기생하며 기온이 올라가면 틈 사이에서 외부로 다녀 발견되고 하수구에 서식하기 때문에 오물에 오염되어 있다. ◎ 이질바퀴
대형바퀴로 35~40mm 광택있는 적갈색, 미국바퀴라고도 한다. ◎ 먹 바퀴
이질바퀴와 비슷하나 더 진한 갈색에 둥그스런 더듬이가 분명하다.
남부지방에 분포.
벼룩
◎ 역사적으로 흑사병, 발진열 등을 전파시켜 인류에게 혹독한 고통을 준 바있다. ◎ 벼룩은 숙주의 서식처 즉, 방바닥, 자리 밑, 파레트 속, 애완동물의 집, 쥐굴등에서 유기물과 성충의 변을 먹으며 발육하는데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며 숙주로 이동하여 흡혈하면서 생활 한다. 발육하는데 30-40일이 소요되며 수명은 6개월정도 사는 것을 알려져 있다.
모기
◎ 뇌염, 말라리아등을 전파 시키는 모기는 알에서 번데기까지의 기간을 물에서 보내고 성충이되면 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으로 흡수형 구기를 가지고 있으며, 암놈만이 흡혈한다. ◎ 발육기의 모기와 성충의 서식처가 다르므로 구제장소와 방법도 크게 다르다.
모기는 발육하는데 약 2주가 소요되며, 수명은 종류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며 약 6개월간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
개미
◎ 개미의 크기는 같은 종 중에서도 계급이나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종이 많으며, 작은 뿔개미와 같이 1 mm 에도 달하지 않는 것부터 13 mm에 달하는 검은 왕개미 등이 있다. 외국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불독개미와 같은 20∼25 mm에 달하는 것도 있다. ◎ 보통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집개미는 1~3 mm정도의 작은 개미이다.
진드기
◎ 진드기과 및 애기진드기과의 미소한 거미류이다. 몸길이 0.5~1 mm이다.
흡혈 진드기는 몸길이가 약 2 mm에 이르기도 한다. ◎ 몸은 머리 ·가슴 ·배가 융합하여 한몸이며, 더듬이 ·겹눈 ·날개 등이 없고 걷는 다리[步脚]는 4쌍이다. 간단한 구조로 된 눈이 1~2쌍 있는데 대부분의 응애류에는 이것이 없어 서로 구별된다. 입틀로는 1쌍의 협각(鋏角)이 있다.
번식은 정협 (精夾 : 精包라고도 한다)을 주고 받아 교미가 이루어진다.
즉, 수컷이 자신의 정협을 암컷의 생식구에 밀어 넣는다. 부화 유충은 약충기 (若蟲期)를 거쳐성충이 된다. 유충기에는 다리가 3쌍이지만 탈피하여 약충이 되면서 다리가 4쌍으로 된다.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개월이 걸린다. ◎ 진드기 중에는 사람이나 짐승의 피를 빠는 것이 있는데, 한번 피부에 기생하게 되면 며칠이고 계속해서 흡혈하며 방목지의 소 ·말에 많이 붙는다.
파
리
◎ 파리는 알-유층(구더기)-번데기-성충의 명확한 발육 단계를 갖는 즉, 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이다.
스폰지형의 특수한 구기를 가진 잡식성인 파리는 동물의 배설물, 분비물, 동식물 사체, 음식물 등 거의 안가는 곳이 없으며, 일정한 수분만 함유되어 있으면 알을 낳는다. ◎ 파리는 주간활동성(diurnal)이며, 밤에는 천장에서 휴식하기를 좋아한다.
집 파리는 발육하는데 약 2주일이 소요된다. 파리는 타액과 반소화 된 식품을 코와구기나 다리에 있는 털 또는 강모에 오물을 부착하여 오염시키므로 각종 소화기에 전염병을 전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