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2017-06-16T10:32:43+00:00

신성화학은 해충의 종류 및 유입경로에 따라
맞춤 방역기기를 공급합니다.

 개미

벌목[膜翅目] 개미과 곤충의 총칭.

 학명 : (ant) Formicidae

 분류 : 벌목[膜翅目] 개미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북동부,사할린,유럽

 크기 : 몸길이 일개미 5~8mm,
              암컷 9~11mm

개관

몸길이는 일개미 5~8mm, 암컷 9~11mm이다. 일개미의 몸빛깔은 암적황색이고 배는 갈색이다.

전체에 황색의 연한 털이 밀생하였고 배에는 더 촘촘하다. 머리는 길이가 나비보다 길고 양 옆은 모가 진다.
암컷의 머리와 가슴은 적황색이고 정수리와 가운뎃가슴등판 위에는 3줄의 흑갈색 띠가 있으며 배는 감색이다. 몸 전체에 연한 황색 털이 나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사할린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개미의 크기는 같은 종 중에서도 계급이나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종이 많으며, 작은뿔 개미와 같이 1mm에도 달하지 않는 것부터 13mm에 달하는 검은 왕개미 등이 있다. 외국에서는 오스트레 일리아에 서식하는 불독개미와 같은 20∼25m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계급에 의해 현저한 차이가 나는데 열대지역의 흰개미의 둥지에서 발견되는 어떤 일개미는 여왕개미의 수천분의 1밖에 안 되므로 혼인비행을 할 때 여왕개미의 다리의 털에 붙어서 운반되며, 또 같은 계급이라도 침개미의 어떤 종의 일개미에서는 대형개체는 최소형개체의 75배나 된다고 한다.

개미의 몸빛깔은 황색·황갈색·적갈색·암갈색·흑색 등이 보통이고 무늬가 있는 종류는 적다. 형태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머리·가슴·배의 3부분이 뚜렷이 구별되어 있다. 머리는 크고 여러 형으로 되어 있으며, 큰턱이 잘 발달되어 튼튼하며 식성에 따라 약간 다르다. 더듬이는 4∼13마디이며, 제1마디가 길고 다른 것은 무릎모양으로 굴곡하며 수컷은 보통 암컷보다 1마디가 많다. 겹눈과 3개의 홑눈은, 수컷은 잘 발달되었으나 암컷, 특히 일개미는 보통 작거나 퇴화되었다. 전신복절(前伸腹節)의 뒤에는 가는 1∼2마디의 복병결절(腹柄結節)이 있다.
기부 마디에는 미세한 가로 줄로 된 발음기가 있어 앞마디의 뾰족한 가장자리와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침개미류·유랑개미류에는 독침이 있으나 그 밖의 개미에는 퇴화되었고, 불개미류와 같이 독침대신 배끝에서 포름산을 방출하는 것이 많다. 개미는 예로부터 근세까지 포름산을 모으기 위해 쓰였으며, 독 선(毒腺)의 저장낭(貯藏囊) 내의 포름산 농도는 약 50%, 때에 따라서는 70%에 달한다.

생태

개미의 계급은 수캐미·여왕개미·일개미의 3종류가 있다. 수캐미는 가장 변화가 적고 날개가 있어 배벌[土蜂]과 같은 특징이 남아있다. 보통은 여왕개미보다 작고 단명하며 미수정란에서 발생하므로 체세포 염색체는 반수이다. 여왕개미는 암컷으로 대형이며, 생식기관이 잘 발달되었고, 배가 크다. 날개는 있으나 혼인비행 후에 탈락한다. 혼인비행 후에는 영소(營巢) 및 산란을 한다. 여왕개미는 수정란에서 발생하며 염색체수는 배수이다. 일개미는 암컷이지만 날개가 없으며 생식기관 발달이 나쁘다. 그러나 종에 따라서는 소수이지만 일개미도 산란하며, 그물등개미에서는 여왕은 보이지 않고 일개미만으로 번식하는 것 같다. 일개미는 더욱이 분화되어 소형·중형·대형, 병정개미의 4형이 인정되지만 종에 따라서는 그 일부만이 있고, 또 소수의 기생성 개미에는 일개미가 없다. 병정개미는 대형으로 특히 머리와 큰턱이 발달되어 외적을 방어하거나 딱딱한 먹이를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고 망보는 역할도 한다.

개미의 행동에는 미량의 냄새 물질이 관계하며 족적물질(足跡物質:배 끝에 있는 샘에서 분비됨)은 먹이까지의 길을 동료들에게 알리며, 경보물질(큰턱샘에서 분비됨)은 엷으면 동료를 끌어모으고, 짙으면 산산히 흩어져 도망치게 하며, 여왕물질은 꿀벌의 경우처럼 일개미의 난소발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개미는 봄부터 초여름까지 대형의 애벌레를 기르는데, 그것들은 수컷과 여왕이 된다. 혼인비행의 시기 및 시간은 종류에 따라 일정하며 곰개미와 일본왕개미는 한낮, 산개미·고동개미는 이른 아침, 노랑물개미는 저녁 때, 숲고동털개미와 강변고동털개미는 일몰직후에 혼인비행을 한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고 맑으며 바람이 없는 날에 하며 많은 둥지에서 일제히 다수의 개체가 나오므로 혈족 결혼의 확률은 적다. 혼인 비행이 끝난 수컷은 곧 죽는다. 수정 낭에 정자를 채운 여왕개미는 날개를 떨어버리고 밀폐된 작은 방을 만들어 그 속에 들어간다. 산란한 여왕은 침샘 [唾腺]에서 나오는 분비물로 유충을 키운다.

이 사이도 여왕은 복부의 지방이나 불필요하게된 날개근육이 분해되며 유충에게 먹인다. 최초에 보육된 일개미는 영양불량으로 작지만 먹이를 모으고 유충과 여왕을 돌본다. 여왕은 일개미가 증가함에 따라 보육에서 해방되며 장기에 걸쳐 산란하는 일에 전념하게 된다. 충분히 발달 된 개미의 한 사회(집단)의 개체수는 원시적인 개미류에서는 수십이나, 고등한 개미에서는 수천에서 수만에 이른다. 일개미의 둥지 확장에 따라 대형으로 되고 집단이 일정한 규모에 달하면 일부의 유충을 수캐미로 보육한다.

개미의 피해

 꼬마개미·애집개미·고동털개미·일본왕개미 등과 같이 직접 가옥 내에 침입하여 설탕이나 그 밖의 식품을 훔치는 것이 있으며, 진딧물이나 깍지벌레를 보호하기 때문에 농업상의 해를 끼치는 것이 있다.

해충의 천적으로서 유익한 것도 있어 중국에서는 감귤류의 해충 구제에 1600년 전부터 개미를 이용하였고, 타이완의 사탕수수 해충에 대한 왕주름개미, 독일의 산림해충에 대한 불개미 등 농업해충의 방제에 개미가 이용되고 있다.

갈고리머리개미
곡예사개미
꼬마흑개미
도둑개미
모댁목수개미
미친개미
병정흰개미
붉은불개미
비시너스목수개미
아르헨티나개미
애집개미
유령개미
주름개미
펜실베니커스목수개미
향집개미
흙개미
흰발납자루개미